- 시나리오
미사용 NIC를 이용하여 별도의 가상스위치를 구성. 여기에 새로운 대역대의 시스템 설치하려함.
미사용 NIC에는 다른 경로의 네트워크 케이블을 포설.
- 사용 시스템
HW : IBM x3650M4
VM : Vmware 6.0
- 미사용 포트의 식별
vmware상에서 어떤 NIC가 미사용인지는 확인 가능한데, 이 NIC가 실제 어떤 물리포트인지는 확인이 어렵다.
내 경우는 트래픽이 없거나 이중화가 되어서 연결이 Down 되어도 문제없는 물리포트를 하나씩 빼보면서 확인했다.
esxcli network nic list |
여기서 vmnic1, 3, 6, 7 을 사용하려한다.
- VM 가상스위치 생성
네트워크 추가 마법사가 나오면 시키는대로 하면 된다.
- VM 가상스위치 구성
생성된 가상스위치의 속성을 확인 가능하다.
특수한 경우아니면 디폴트로 설정해놔도 문제없다.
- VM에 가상스위치 연결 및 OS에서 구성
VM 속성에서 이더넷 스위치 추가하여 스위치 추가 연결
네트워크 어댑터(NIC) 추가 후 OS에서 상태 확인
nmcli connection nmcli con show |
추가한 NIC로 통신이 가능하면 아래와 같이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이 NIC에 적절한 IP 등 셋팅을 하면 정상적으로 활성화가 된다.
- (추가) 적절한 IP 셋팅 방법 : nmtui 활용
config 파일을 수정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하는 방법도 있지만
보기 편한 GUI를 이용할 수도 있다.
nmtui |
메뉴를 보면 명령어로 가능한 것들이 보인다.
Edit a connection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xxx Activate a connection -> ifconfig xxx up또는down Set system hostname -> hostnamectl set-hostname xxxxxxx |
여기서 네트워크 설정을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오고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 작업하면서 추가로 알게된 점 -
vmware essentials license에서는 LACP 구성이 되지 않는다.
즉, 가상스위치에 여러 NIC를 묶어도 대역폭을 늘릴 순 없다.
'On-Prem 기술 > V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ox 자동 업데이트 오류시 (0) | 2025.02.06 |
---|---|
Proxmox 설치 및 초기 설정 (0) | 2024.08.07 |
Vmware ESXi, vCenter 버전 및 라이선스 확인 방법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