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기술/Linux 45

Rocky Linux CD repo DNF 이용

1) CD 넣기물리적으로 CD를 넣든, ISO를 이용해서 마운트하든 상관 없다장비구분에 따라 장치이름이 다를 수 있으나 보통은 /dev/sr02) CD 마운트하기자동으로 마운트 될 수 있으나, 편의를 위해서 /mnt로 재마운트# umount /dev/sr0# mount -o ro /dev/sr0 /mnt (나중에라도 CD 뺏다가 다시 넣으면 위처럼 재마운트 필요) 3) CD안에 ~.repo 찾아서 로컬로 복제# cp /mnt/media.repo /etc/yum.repo.d/# chmod u+w /etc/yum.repo.d/media.repo ** 폐쇄망일 경우 다른 repo 파일은 정리# mkdir /etc/yum.repo.d/notuse# mv /etc/yum.repo.d/*.repo /etc..

OS 기술/Linux 2025.05.08

패키지 설치 스크립트

사용목적1) 패키지 여러개를 설치해아 할 때 2) 설치 안된 패키지만 골라서 설치하고 싶을 때패키지 설치 스크립트 내용# vi pak_install.sh#!/bin/bash # 패키지 목록이 들어있는 파일 package_file="pak_list.txt" output_file="not_install_paklist.txt" #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if [[ ! -f "$package_file" ]]; then echo "$package_file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먼저 패키지 리스트를 만들어주세요." exit 1 fi # 기존 output 파일 초기화 > "$output_file" # 파일에서 한 줄씩 읽어서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while IFS= read -r pkg; do ..

OS 기술/Linux 2025.05.08

우분투에서 vi와 vim 백스페이스

vim이 설치된 시스템과 아닌 시스템이 있다 vim이 있는 경우vim이 없는 경우  둘다 vi를 실행하면 vim이라고 나오긴하는데;  몇가지 기능이 알고 있는것과 서로 다르게 작동한다 1)어떤 텍스트를 열었을 때 vim은 마지막 수정위치에 커서가 있고vi는 문서 처음에 커서가 있다 편집모드로 작성하다가 윈도우에서 처럼 백스페이스를 이용하면vi는 편집모드를 처음 진입했던곳까지만 백스페이스로 제거 및 이동이 가능하다추가로 줄이 바뀌는거도 올라가지 못한다.반면 vim은 익숙한 모양으로 잘 작동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vim 을 설치하면 되긴하지만# sudo apt install vim 폐쇄적인 환경으로 설치가 불가하거나 꼭 vi를 써야한다면vi 설정을 변경하여 백스페이스를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가능하다 만약..

OS 기술/Linux 2025.01.09

tar 명령어 (압축, 아카이브)

사실 tar 자체는 압축이 아니다. 하지만 압축을 위한 옵션이 존재하긴 한다.  - 묶을 때 tar 명령어 사용법# tar c[옵션] [tar파일].tar [대상파일1] [대상파일2] - 풀 때 tar 명령어 사용법# tar x[옵션] [tar파일].tar [풀릴위치(선택)] - 압축 할 때# tar z[옵션] [tar파일].tar.gz [대상파일1] [대상파일2]# tar j[옵션] [tar파일].tar.bz2 [대상파일1] [대상파일2] # tar J[옵션] [tar파일].tar.xz [대상파일1] [대상파일2] - 압출 풀 때# tar z[옵션] [tar파일].tar.gz [풀릴위치(선택)]# tar j[옵션] [tar파일].tar.bz2 [풀릴위치(선택)] # tar J[옵션] [tar파일].ta..

OS 기술/Linux 2024.11.28

리눅스 LVM이 없는 환경에서 OS디스크 볼륨 증설하기

일반적으로 LVM을 구성하여 온라인 중에 동적으로 볼륨을 증설한다.하지만 처음 구성당시 미처 LVM을 구성하지 못했다면, 어쩔수 없이 서버Down을 가지고 증설해줘야한다.물리서버에서는 HW에서 디스크 할당 관리를 하지 않는 이상 용량을 늘리는 방법이 없다.VM에서만 가능한 작업 만약 LVM이 되어있다면 아래 글 참고https://dong-it-engineer.tistory.com/15   [작업개요]1) 서버 Down (shutdown -h now)2) 디스크 용량 증설 (VM manager에서 수행)2) 디스크 확인 (lsblk 또는 fdisk -l)3) 기존 파티션 확장 (parted /dev/sda) or (fdisk /dev/sda) 4) 파일 시스템 확장 (resize2fs /dev/sda1) ..

OS 기술/Linux 2024.06.28

SNMP Config 셋팅 스크립트

SNMP를 이용한 시스템정보수집, 관제, 로그수집 등을 수행할 수 있다.매번 snmpd.conf 를 셋팅하는게 번거로워서 스크립트로 만들었다.최소한의 설정만 넣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추가 설정은 수작업으로 넣어야한다.  ** 주의) 인터넷에서 받는 스크립트들은 테스트 환경에서 먼저 적용해보고 운영환경에서 적용하는걸 권장합니다. 아래는 snmp를 이용한 PRTG 셋팅 예시 스크립트이다.우분투 버전#!/bin/sh # SNMP 설치여부 확인 if dpkg-query -W -f='${Status}' snmpd 2>/dev/null | grep -q "install ok installed"; then echo "" else     echo "snmpd 서비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echo "snmpd ..

OS 기술/Linux 2024.05.28

디스크 IOPS, speed 등 성능 체크

리눅스에서 디스크 및 파일시스템의 성능 벤치마킹이 필요할 때가 있다. 여러 방법과 도구가 있지만, 아래 3개가 대체로 많이 사용하는 도구로 생각된다. 1) hdparm (https://man7.org/linux/man-pages/man8/hdparm.8.html) 2) fio (https://github.com/axboe/fio) 3) dd (https://man7.org/linux/man-pages/man1/dd.1.html) !!주의!! 사실 이거 쓰려고 포스팅했다.oracle DB를 사용중인 시스템에서는 fio 명령어 중 write에 관여하는 옵션을 쓰면 절대 안된다. (물론 oracle에서 write가 되는 모든 명령어는 위험하다) - fio rw 옵션값중 write관여 값: readwrite, ..

OS 기술/Linux 2024.05.14

리눅스 명령어 반복하는 방법

특정 명령어를 반복 입력하여 모니터링시 사용한다. 아래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while 구문이 체감상 더 보기 편했음. 1. while 구문 이용 실제로 매시간마다 명령어를 치는것과 동일한 출력 사용방법 : # while true; do ; sleep [시간:초] ; done ; 출력화면 예시 : # while true; do netstat | grep ssh; sleep 1 ; done ; 2. watch 명령어 이용 top과 같은 모양으로 모니터링 가능 사용방법 : # watch -n [시간:초] 출력화면 예시 : # watch -n 1 ls -la .

OS 기술/Linux 2024.04.20

NTP 오류 - ntpd[]: frequency error -506 PPM exceeds tolerance 500 PPM

[증상] 서버 시간이 갑자기 안맞는게 확인되서 로그를 확인 해봤더니 아래와 같은 로그가 무수히 쏟아지고 있었다. grep ntp /var/log/messages ntpd[]: frequency error -506 PPM exceeds tolerance 500 PPM ntpd[]: frequency error -506 PPM exceeds tolerance 500 PPM ntpd[]: frequency error -506 PPM exceeds tolerance 500 PPM ntpd[]: frequency error -506 PPM exceeds tolerance 500 PPM ntpd[]: frequency error -506 PPM exceeds tolerance 500 PPM ... 내용인 즉 ntp..

OS 기술/Linux 2023.11.13

NFS 서버,클라이언트 설정 파일/폴더 공유 만들기

서버끼리 파일 공유를 하는 여러가지 방법중에 NFS공유를 만들어서 서로 같은 데이터를 바라보는 방법이 있다. 마치 윈도우에서 공유폴더를 만드는것과 같다. [테스트 환경 구성] A서버(Server)에서 B서버(Client)로 NFS를 이용한 공유 구성 테스트 1) 서로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환경에 서버 2대 설치 - NFS Server OS: CentOS7.6 IP: XXX.XXX.101.133 - NFS Client OS: Ubuntu22.04 IP: XXX.XXX.101.131 2) Server, Client 모두 nfs 관련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 CentOS 명령어 rpm -qa | grep nfs-utils # Ubuntu 명령어 sudo dpkg -l | grep nfs-common 3..

OS 기술/Linux 202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