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기술/Linux 51

SSH 호스트키 변경 경고 & Private Key 권한 오류 해결 가이드

개요SSH 접속 중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와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오류가 발생했음. 본 문서는 원인과 조치 절차를 순서대로 정리했음. 증상$ ssh -i sshkey_prd_pri.key opc@10.10.21.12@@@@@@@@@@@@@@@@@@@@@@@@@@@@@@@@@@@@@@@@@@@@@@@@@@@@@@@@@@@@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Offending ED25519 key in /home/opc/.ssh/k..

OS 기술/Linux 2025.08.13

리눅스 계정 이름 변경 가이드 (usermod, groupmod)

계정 이름을 beforeadmin → afteradmin 으로 변경한 실제 사례를 정리함.진행 중 “user is currently used by process” 오류를 해결한 방법까지 포함함.증상usermod: user beforeadmin is currently used by process 5823원래 계정명 beforeadmin으로 로그인된 세션 또는 해당 계정으로 동작 중인 프로세스가 있어 변경 불가함.원인분석usermod -l 명령은 대상 계정이 활성 프로세스를 전혀 가지지 않아야 함SSH 세션, 백그라운드 서비스, screen/tmux, cron 잡, 데몬의 User= 설정 등으로 해당 UID가 사용 중이면 변경이 막힘조치방법1) 관리자 권한 확보함sudo -i # 또는 root로 로..

OS 기술/Linux 2025.08.08

[리눅스] 유선 연결(Wired connection)이 활성화되지 않는 문제 해결

최근 특정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wired connection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아 IP를 못 받는 경우를 겪었음.해당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정리해둠.1. 증상이더넷 케이블은 연결되어 있음`ip a` 명령어 상 eth0, ens160 등 인터페이스가 존재함하지만 nmcli 명령어로 확인했을 때, Wired connection이 활성화되지 않음2. 문제 원인NetworkManager는 NIC와 연결된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데, 프로파일이 없거나 활성화되지 않으면 IP를 받지 못함.GUI 환경에서는 직접 연결을 누르면 되지만, 터미널 환경에서는 `nmcli`를 사용해야 함.3. 해결 방법nmcli device 로 현재 장치 상태 확인nmcli ..

OS 기술/Linux 2025.08.08

리눅스 SSH Key 기반 로그인 방법 정리

리눅스에서 SSH key를 사용하는 방식은 비대칭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서버에 저장되는 public key 1개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private key 1개가 생성됨. 🔐 SSH 키 생성 명령 (서버에서 할 일)ssh-keygen -t rsa-t 옵션으로 암호화 알고리즘 지정 가능 (보통 rsa 사용)키 저장 경로는 기본적으로 ~/.ssh 하위 경로로 설정됨passphrase를 입력하면 로그인 시마다 암호 입력 필요. 공란으로 두면 자동 로그인 가능함 🗂️ 생성된 파일 확인 (서버에서 할 일)기본적으로 아래 두 파일이 생성됨id_rsa : 개인키 (로컬 사용자 보관)id_rsa.pub : 공개키 (서버에 등록)ls -l ~/.sshfile id_rsafile id_rsa.pub 🔑 공개키 서버..

OS 기술/Linux 2025.07.14

디스크 인식 FC 및 LVM 증설

스토리지를 통해 FC로 연결된 LUN을 시스템에 인식시키고, 이를 LVM으로 증설하는 절차를 정리해봄. ※ 본 절차를 따랐음에도 디스크가 보이지 않을 경우, OS 리부팅이 필요할 수 있음.1. 증설하려는 볼륨 정보 확인df -h 명령으로 마운트 및 용량 상태 확인multipath -ll 명령으로 SAN LUN 연결 정보 확인pvdisplay 명령으로 기존 LUN이 물리 볼륨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확인 2. 마운트 해제읽기/쓰기 충돌 방지를 위해 먼저 대상 마운트를 해제함umount /DZeusDBDATA11 3. FC 포트 재인식 및 multipath 확인FC 포트 중 하나 재인식/etc/multipath/bindings 에서 binding 설정 확인 --(주의!!) 식할때 binding 필요한지 재확인..

OS 기술/Linux 2025.07.13

리눅스 아규먼트의 앞뒤가 헷갈리는 명령어 정리

원본과 대상 파일을 다루는 명령어를 쓰다 보면, 어느 쪽이 '원본'이고 어느 쪽이 '대상'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음. 일반적으로는 '원본이 앞, 대상이 뒤' 순서이지만 그렇지 않은 예외도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명령어를 모아 정리해보았음.1. 복사 및 이동 명령어cp [원본] [대상] - 파일 복사mv [원본] [대상] - 파일 이동→ 둘 다 원본이 앞, 대상이 뒤 구조를 가짐. 2. 백업 관련 명령어rsync [원본] [대상] - 원격 또는 로컬 파일 동기화dd if=[입력파일] of=[출력파일] - 입력/출력 지정 방식dump -0u -f [백업파일] [대상파일시스템]restore -rf [백업파일]cpio -o backup.cpiotar -cf [tar파일] [디렉토리]→ dd 명령어만 예외..

OS 기술/Linux 2025.07.13

Rocky Linux CD repo DNF 이용

1) CD 넣기물리적으로 CD를 넣든, ISO를 이용해서 마운트하든 상관 없다장비구분에 따라 장치이름이 다를 수 있으나 보통은 /dev/sr02) CD 마운트하기자동으로 마운트 될 수 있으나, 편의를 위해서 /mnt로 재마운트# umount /dev/sr0# mount -o ro /dev/sr0 /mnt (나중에라도 CD 뺏다가 다시 넣으면 위처럼 재마운트 필요) 3) CD안에 ~.repo 찾아서 로컬로 복제# cp /mnt/media.repo /etc/yum.repo.d/# chmod u+w /etc/yum.repo.d/media.repo ** 폐쇄망일 경우 다른 repo 파일은 정리# mkdir /etc/yum.repo.d/notuse# mv /etc/yum.repo.d/*.repo /etc..

OS 기술/Linux 2025.05.08

패키지 설치 스크립트

사용목적1) 패키지 여러개를 설치해아 할 때 2) 설치 안된 패키지만 골라서 설치하고 싶을 때패키지 설치 스크립트 내용# vi pak_install.sh#!/bin/bash # 패키지 목록이 들어있는 파일 package_file="pak_list.txt" output_file="not_install_paklist.txt" #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if [[ ! -f "$package_file" ]]; then echo "$package_file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먼저 패키지 리스트를 만들어주세요." exit 1 fi # 기존 output 파일 초기화 > "$output_file" # 파일에서 한 줄씩 읽어서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while IFS= read -r pkg; do ..

OS 기술/Linux 2025.05.08

우분투에서 vi와 vim 백스페이스

vim이 설치된 시스템과 아닌 시스템이 있다 vim이 있는 경우vim이 없는 경우  둘다 vi를 실행하면 vim이라고 나오긴하는데;  몇가지 기능이 알고 있는것과 서로 다르게 작동한다 1)어떤 텍스트를 열었을 때 vim은 마지막 수정위치에 커서가 있고vi는 문서 처음에 커서가 있다 편집모드로 작성하다가 윈도우에서 처럼 백스페이스를 이용하면vi는 편집모드를 처음 진입했던곳까지만 백스페이스로 제거 및 이동이 가능하다추가로 줄이 바뀌는거도 올라가지 못한다.반면 vim은 익숙한 모양으로 잘 작동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vim 을 설치하면 되긴하지만# sudo apt install vim 폐쇄적인 환경으로 설치가 불가하거나 꼭 vi를 써야한다면vi 설정을 변경하여 백스페이스를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가능하다 만약..

OS 기술/Linux 2025.01.09

tar 명령어 (압축, 아카이브)

사실 tar 자체는 압축이 아니다. 하지만 압축을 위한 옵션이 존재하긴 한다.  - 묶을 때 tar 명령어 사용법# tar c[옵션] [tar파일].tar [대상파일1] [대상파일2] - 풀 때 tar 명령어 사용법# tar x[옵션] [tar파일].tar [풀릴위치(선택)] - 압축 할 때# tar z[옵션] [tar파일].tar.gz [대상파일1] [대상파일2]# tar j[옵션] [tar파일].tar.bz2 [대상파일1] [대상파일2] # tar J[옵션] [tar파일].tar.xz [대상파일1] [대상파일2] - 압출 풀 때# tar z[옵션] [tar파일].tar.gz [풀릴위치(선택)]# tar j[옵션] [tar파일].tar.bz2 [풀릴위치(선택)] # tar J[옵션] [tar파일].ta..

OS 기술/Linux 202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