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리눅스에서 SSH key를 사용하는 방식은 비대칭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서버에 저장되는 public key
1개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private key
1개가 생성됨.
🔐 SSH 키 생성 명령 (서버에서 할 일)
ssh-keygen -t rsa
-t
옵션으로 암호화 알고리즘 지정 가능 (보통rsa
사용)- 키 저장 경로는 기본적으로
~/.ssh
하위 경로로 설정됨 - passphrase를 입력하면 로그인 시마다 암호 입력 필요. 공란으로 두면 자동 로그인 가능함
🗂️ 생성된 파일 확인 (서버에서 할 일)
기본적으로 아래 두 파일이 생성됨
id_rsa
: 개인키 (로컬 사용자 보관)id_rsa.pub
: 공개키 (서버에 등록)
ls -l ~/.ssh
file id_rsa
file id_rsa.pub
🔑 공개키 서버 등록 (서버에서 할 일)
서버의 로그인 계정의 ~/.ssh/authorized_keys
파일에 id_rsa.pub
내용을 추가해야 함
cat id_rsa.pub >> ~/.ssh/authorized_keys
🧪 테스트 로그인 (사용자에서 할 일)
다음과 같이 키 기반으로 SSH 로그인 테스트를 할 수 있음
ssh -i ~/.ssh/id_rsa 사용자명@서버주소
※ 단, 키를 생성한 계정으로만 접속 가능하며, 다른 계정에는 인증 실패함
❗ 키 기반 로그인 안될 때 점검 사항
- 계속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 authorized_keys 파일이 잘못되었을 가능성 있음
- 디버깅은
-v
옵션 사용하여 로그 확인
ssh -v -i ~/.ssh/id_rsa 사용자@서버
💡 참고: known_hosts vs authorized_keys
~/.ssh/known_hosts
는 접속 대상 서버의 공개키 정보 저장 파일임~/.ssh/authorized_keys
는 접속을 허용할 클라이언트의 공개키 목록임
✅ 결론
SSH 키 기반 인증을 사용하면 비밀번호 없이도 안전한 인증이 가능함.
단, 공개키 등록과 퍼미션 설정이 중요하며, 잘못된 설정 시 키 인증이 실패하게 됨.
덤) sshkey를 이용해서 putty 전용 ppk 를 만들 수도 있음.
728x90
'OS 기술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크 인식 FC 및 LVM 증설 (2) | 2025.07.13 |
---|---|
리눅스 아규먼트의 앞뒤가 헷갈리는 명령어 정리 (0) | 2025.07.13 |
Rocky Linux CD repo DNF 이용 (1) | 2025.05.08 |
패키지 설치 스크립트 (0) | 2025.05.08 |
우분투에서 vi와 vim 백스페이스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