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b 2

SMB 연결 안되는 증상과 해결 방법

📛 안 될 때 증상Windows 서버 또는 NAS 장비와 SMB로 연결하려 할 때 연결이 되지 않는 증상이 발생함.포트통신은 모두 성공하는데 계정정보를 입력하여 연결시 계속 암호가 잘못되었다고 메시지 나옴. 🔍 되는 서버 vs 안되는 서버 비교다음은 SMB 연결이 가능한 서버와 그렇지 않은 서버의 그룹 정책 설정 차이를 비교한 화면임.cmd > secpol.msc 특정 정책(GPO)이 적용된 서버에서만 SMB 연결이 차단됨을 확인함.특히 구형 NAS에서 사용하는 SMB1 또는 NTLMv1 인증 방식이 차단되어 있었음.📌 확인된 정책 내용정책 항목: Microsoft 네트워크 보안: NTLM SSP 기반 서버 인증 수준해당 정책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NTLMv1 인증을 거부함.이 설정은 GPO로 강..

OS 기술/Windows 2025.07.30

리눅스에 CIFS(SAMBA) 볼륨 마운트

CIFS(SMB)는 일반적으로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1. 패키지 설치여부 확인 확인 명령어 : rpm -qa | grep cifs-utils cifs 패키지의 버전도 확인할 수 있음 2. 포트 통신 확인 CIFS(SMB) 연결을 위한 포트 통신도 가능해야함 SMB 포트 : 139, 445 nc, telnet, nmap 등 가용한 명령어로 확인하면 된다 nc 명령어 사용법 : nc -zv [볼륨제공시스템IP] [포트번호] 3. 마운트 계정 옵션 설정 CIFS 마운트를 위해서는 윈도우에서 볼륨에 접근할 때와 동일하게 계정, 패스워드가 필요함 리눅스에서는 마운트 옵션에 계정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온 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함 - 마운트 명령어 : mount -t cifs -o domain=[도메인],use..

OS 기술/Linux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