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원본과 대상 파일을 다루는 명령어를 쓰다 보면, 어느 쪽이 '원본'이고 어느 쪽이 '대상'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음. 일반적으로는 '원본이 앞, 대상이 뒤' 순서이지만 그렇지 않은 예외도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명령어를 모아 정리해보았음.
1. 복사 및 이동 명령어
cp [원본] [대상]
- 파일 복사mv [원본] [대상]
- 파일 이동
→ 둘 다 원본이 앞, 대상이 뒤 구조를 가짐.
2. 백업 관련 명령어
rsync [원본] [대상]
- 원격 또는 로컬 파일 동기화dd if=[입력파일] of=[출력파일]
- 입력/출력 지정 방식dump -0u -f [백업파일] [대상파일시스템]
restore -rf [백업파일]
cpio -o < files > backup.cpio
tar -cf [tar파일] [디렉토리]
→ dd
명령어만 예외적으로 옵션(if, of)로 구분하며, dump
와 tar
도 옵션과 위치가 혼용될 수 있으므로 유의가 필요함.
3. 심볼릭 링크
ln -s [원본] [링크]
→ 헷갈리기 쉬운 명령어 중 하나. 링크가 마지막임.
ln -s test.txt test_link.txt
4. 파일 비교
4-1. comm
comm file1 file2
로 두 파일의 차이를 줄 단위로 보여줌. 두 파일 모두 정렬(sorted) 상태여야 함.
comm file1 file2
출력은 다음과 같은 형식임:
- 첫 번째 열: file1에만 있는 줄
- 두 번째 열: file2에만 있는 줄
- 세 번째 열: 공통된 줄
4-2. diff
diff file1 file2
형식으로 사용하며, 줄 단위 변경사항을 출력함.
diff file1 file2
< :
file1 내용, > :
file2 내용
4-3. cmp
두 파일을 바이트 단위로 비교하며 차이 나는 바이트의 위치를 출력함.
cmp file1 file2
예시: 파일 생성 및 비교
echo -e "a\nb\nc\nd" > file1
echo -e "b\nc\ne" > file2
comm file1 file2
diff file1 file2
cmp file1 file2
각 명령어마다 아규먼트 순서에 따라 출력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함.
결론
명령어마다 아규먼트의 앞뒤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메뉴얼을 확인하고 사용할 필요가 있음. 특히 dd
, ln
, rsync
, tar
, diff
는 자주 헷갈리는 명령어이므로 습관적으로 순서를 외워두는 것이 좋음.
728x90
'OS 기술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SSH Key 기반 로그인 방법 정리 (1) | 2025.07.14 |
---|---|
디스크 인식 FC 및 LVM 증설 (2) | 2025.07.13 |
Rocky Linux CD repo DNF 이용 (1) | 2025.05.08 |
패키지 설치 스크립트 (0) | 2025.05.08 |
우분투에서 vi와 vim 백스페이스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