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파일시스템으로 VM을 사용하는건 10G 정도되는 환경이 아니라면 추천하지 않는다.
사실 10G여도 추천하지 않는다. 데이터 저장용도 등으로만 사용했으면 한다.
1. NFS 볼륨 준비 및 설정
1) 서버와 스토리지 준비
서버 IP: 10.12.1.152~154
NAS IP: 10.12.1.55
2) NFS를 제공가능한 스토리지 또는 서버를 이용하여 볼륨 생성.
NAS 전용 스토리지를 이용했다. (자세한 생성방법은 생략)
3) NFS 호스트 권한 부여
Proxmox에서 NAS를 이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한다.
2. Proxmox NFS 스토리지 추가 및 설정
1) NFS Storage 추가
proxmox Cluster에 Storage를 추가 등록
proxmox Cluster > Storage > Add > NFS |
2) 필수 입력항목 (ID, Server, Export)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반드시 입력해야한다.
- ID: Proxmox에서 지정할 NAS 볼륨 이름
- Server: NAS 스토리지 IP
- Export: NAS 스토리지에서 공유하는 볼륨 경로. IP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리스트가 드롭다운된다
그 외는 Default로 하여도 큰 문제 없음
3) VM 생성시 NAS 지정
VM 생성시 NAS로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덤) 아무래도 네트워크를 이용하다보니 VM의 속도가 느리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용은 안하는게 좋겠다.
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했던 케이스는 vmdk to Qcow2 to zfs 등으로 변환할 때 이용했다.
'On-Prem 기술 > V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ox Vnet 이중화 구성 (3) | 2025.03.26 |
---|---|
Proxmox VM과 Template (0) | 2025.03.26 |
Proxmox Node Cluster (0) | 2025.03.11 |
Proxmox 자동 업데이트 오류시 (0) | 2025.02.06 |
Proxmox 설치 및 초기 설정 (0)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