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3

Windows 다른 계정으로 명령어 수행 할 때

사용용도) 현재 접속한 계정의 권한이 부족하거나 다른 계정의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할 때 사용자 전환없이 다른 계정으로 작업을 할 때 cmd에서 아래 명령어로 다른계정의 권한으로 작업할 수 있다 (단, 다른계정의 접속정보는 미리 알고 있어야함) > runas /user:[계정명] [명령어] 사용예시) 유저계정에서 Admin 권한으로 실행해야하는 작업이 있는경우 administrator 권한으로 cmd를 여는 명령어 > runas /user:domain\administrator cmd 이제 administrator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 할 수 있음

OS 기술/Windows 2023.06.28

CentOS7 리눅스 해상도 변경

시나리오 : VM을 설치했는데 해상도가 너무 낮아서 높이고 싶음 1. 현재 해상도 확인 명령어 : xrandr | grep connected 현재 해상도 정보 VIrtual1 이라는 모니터(출력단자)에서 800x600으로 화면출력 중 2. 해상도 변경 명령어 : xrandr --output Virtural1 --mode 1280x1024 --primary 변경할 모니터의 이름으로 원하는 해상도를 입력해준다 3. 명령어 입력하면 바로 적용됨

OS 기술/Linux 2023.06.19

sftp 연결시 diffie-hellman 키인증 오류

애져 우분투에서 IDC 윈도우서버로 sftp 연결시 diffie-hellman 키인증 오류 해결 [안되는거] azureadmin@azure-vm02:~$ sftp admin@192.168.101.105 Unable to negotiate with 192.168.101.105 port 22: no matching key exchange method found. Their offer: diffie-hellman-group1-sha1,diffie-hellman-group14-sha1 Connection closed. Connection closed -- 그냥 접근시도시 위 처럼 키 인증이 실패한다고 나옴 [한거] azureadmin@azure-vm02:~$ sftp -oKexAlgorithms=diffie-h..

OS 기술/Linux 2023.06.19

exportfs 이용한 리눅스 폴더 공유

서버에서 서버로 폴더를 공유해줄 떄 사용하는 기능 [시나리오] Source 서버의 디렉토리를 다른 Target 서버에 공유하여 동일한 공간을 활용함 [사용 명령어] exportfs -v : 현재 공유 보기 exportfs -a : /etc/exports 파일에 설정된 내용 반출 exportfs -r : /etc/exports 파일 다시읽기 exportfs -u 클라이언트IP:볼륨 : 특정 클라이언트로만 볼륨 공유 해제 (exportfs 옵션 관련 참고 : https://www.ibm.com/docs/ko/aix/7.2?topic=e-exportfs-command) [사용 파일] /etc/exports : 공유 볼륨, 공유받을 서버, 공유 옵션 등 설정 작성항목 : [공유할디렉토리] [공유받을IP](옵션)..

OS 기술/Linux 2023.06.09

Netapp 스토리지 smb2.0 enable 하는 방법

기본으로 smb1.0만 허용해주는 버전의 Netapp 스토리지에서 smb2.0 enable 하는 방법 - 버전 확인 명령어 : version > version NetApp Release 8.2.3P3 7-Mode: Tue Apr 28 14:48:22 PDT 2015 - smb2.0 상태 확인 명령어 > options cifs.smb2.enable cifs.smb2.enable off - smb2.0 enable 명령어 > options cifs.smb2.enable on 참고) smb2 관련 옵션 확인하는 명령어 > options cifs.smb2

디스크 추가하여 LVM 생성 및 확장

1. 파티션 생성 1) 디스크가 OS에서 인식이 되는지 확인 명령어 : fdisk -l 명령어 : lsblk 각 디스크에 파티션 생성이 안된것 확인 2) 빈 디스크를 fdisk로 파티션 생성 (주의! 2TB가 넘는 파티션 생성시에는 명령어가 다름) 3) 디스크 파티션 타입을 LVM으로 지정. 나중에 용량 증설 편의를 위함 4) 파티션 설정이 완료되면 저장하고 fdisk 종료 참고)) 파티션 타입 2. LVM 생성 (PV,VG,LV) 1) LVM 생성시 PV, VG, LV 3가지만 확인하면 됨 PV : 물리 볼륨 (Physical Volume) VG : 볼륨 그룹 (Volume Group) LV : 논리 볼륨 (Logical Volume) - PV를 만들고 VG에 그루핑 후 VG를 이용하여 LV 생성 2)..

OS 기술/Linux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