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4

SMB 연결 안되는 증상과 해결 방법

📛 안 될 때 증상Windows 서버 또는 NAS 장비와 SMB로 연결하려 할 때 연결이 되지 않는 증상이 발생함.포트통신은 모두 성공하는데 계정정보를 입력하여 연결시 계속 암호가 잘못되었다고 메시지 나옴. 🔍 되는 서버 vs 안되는 서버 비교다음은 SMB 연결이 가능한 서버와 그렇지 않은 서버의 그룹 정책 설정 차이를 비교한 화면임.cmd > secpol.msc 특정 정책(GPO)이 적용된 서버에서만 SMB 연결이 차단됨을 확인함.특히 구형 NAS에서 사용하는 SMB1 또는 NTLMv1 인증 방식이 차단되어 있었음.📌 확인된 정책 내용정책 항목: Microsoft 네트워크 보안: NTLM SSP 기반 서버 인증 수준해당 정책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NTLMv1 인증을 거부함.이 설정은 GPO로 강..

OS 기술/Windows 2025.07.30

UNIX 및 Linux 환경에서 Tape 장치 확인 및 제어 방법

레거시 시스템에서 여전히 Tape 장비를 사용하는 환경이 존재함.본 포스트는 HP-UX, Solaris, AIX, Linux 시스템에서 Tape 장비를 식별하고 제어하는 실무 명령어를 정리한 자료임.📌 1. HP-UX 환경에서 Tape 장치 확인# ioscan -fnC tapeClass I H/W Path Driver S/W State H/W Type Description==================================================================tape 0 0/0/0/3/1.4.0 stape CLAIMED DEVICE HP DAT160 /dev/rmt/0m /dev/rmt/0mn /dev/rmt/c3t..

OS 기술/기타 OS 2025.07.29

UNIX 시스템에서 NFS 사용하는 방법 정리 (HP-UX / AIX)

다양한 UNIX 시스템에서 NFS(Network File System)를 활용하여 파일 공유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해봄. HP-UX와 AIX 시스템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실제 테스트 결과를 함께 기록함.1. HP-UX에서 NFS 설정📌 공유 설정share -F nfs -o ro=@10.12.1.0,anon=0 /was4/2000위와 같이 설정했지만 공유되지 않음. anon=0 옵션이 원인으로 추정됨.✅ 최종 성공한 명령어share -F nfs -o ro=@10.12.1.0 /was4/2000💡 share 명령 확인share/was4/2000 ro=@10.12.1.0 ""💡 unshare로 공유 해제unshare /was4/2000🔗 관련 공식문서 https://docs.oracle.com..

OS 기술/기타 OS 2025.07.28

NTP 동기화 설정 가이드 (Linux & Windows)

🧭 OS 버전 확인 (Linux)cat /etc/redhat-releasedate🔧 NTPQ 설치 및 동작 확인# CentOS 6ntpq -pservice ntpd status# CentOS 7ntpq -psystemctl status ntpdNTPQ가 설치되지 않았다면yum install -y ntp설치 불가 시 cron만 설정해도 동작은 함⚙️ NTP 설정기존 설정 확인 및 백업grep ^server /etc/ntp.confcp /etc/ntp.conf /etc/ntp.conf_bak_221020기존 server 값 삭제 및 신규 입력sed -i '/^server/d' /etc/ntp.confsed -i '21 i\server 172.20.120.1 iburst burst minpoll 4 max..

OS 기술/기타 OS 2025.07.24

Linux 패키지 파일 설치하지않고 다운로드만 받기

패키지를 수동으로 받아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예를 들어 다른 서버에 수동 설치하거나, 네트워크가 차단된 환경 등에서 유용함.1. 일반 설치 상태에서 다운로드-only 옵션 사용sudo apt updateapt search nfs-commonsudo apt install --download-only nfs-common하지만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운로드만으로는 아무 동작도 하지 않음.Reading package lists... Donenfs-common is already the newest version (1:2.6.1-1ubuntu1.2).0 upgraded, 0 newly installed, 0 to remove and 103 not upgraded.2. 확인: 실제로 파일은 다운로드되지..

기타기술 2025.07.17

리눅스 SSH Key 기반 로그인 방법 정리

리눅스에서 SSH key를 사용하는 방식은 비대칭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서버에 저장되는 public key 1개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private key 1개가 생성됨. 🔐 SSH 키 생성 명령 (서버에서 할 일)ssh-keygen -t rsa-t 옵션으로 암호화 알고리즘 지정 가능 (보통 rsa 사용)키 저장 경로는 기본적으로 ~/.ssh 하위 경로로 설정됨passphrase를 입력하면 로그인 시마다 암호 입력 필요. 공란으로 두면 자동 로그인 가능함 🗂️ 생성된 파일 확인 (서버에서 할 일)기본적으로 아래 두 파일이 생성됨id_rsa : 개인키 (로컬 사용자 보관)id_rsa.pub : 공개키 (서버에 등록)ls -l ~/.sshfile id_rsafile id_rsa.pub 🔑 공개키 서버..

OS 기술/Linux 2025.07.14

디스크 인식 FC 및 LVM 증설

스토리지를 통해 FC로 연결된 LUN을 시스템에 인식시키고, 이를 LVM으로 증설하는 절차를 정리해봄. ※ 본 절차를 따랐음에도 디스크가 보이지 않을 경우, OS 리부팅이 필요할 수 있음.1. 증설하려는 볼륨 정보 확인df -h 명령으로 마운트 및 용량 상태 확인multipath -ll 명령으로 SAN LUN 연결 정보 확인pvdisplay 명령으로 기존 LUN이 물리 볼륨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확인 2. 마운트 해제읽기/쓰기 충돌 방지를 위해 먼저 대상 마운트를 해제함umount /DZeusDBDATA11 3. FC 포트 재인식 및 multipath 확인FC 포트 중 하나 재인식/etc/multipath/bindings 에서 binding 설정 확인 --(주의!!) 식할때 binding 필요한지 재확인..

OS 기술/Linux 2025.07.13

리눅스 아규먼트의 앞뒤가 헷갈리는 명령어 정리

원본과 대상 파일을 다루는 명령어를 쓰다 보면, 어느 쪽이 '원본'이고 어느 쪽이 '대상'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음. 일반적으로는 '원본이 앞, 대상이 뒤' 순서이지만 그렇지 않은 예외도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명령어를 모아 정리해보았음.1. 복사 및 이동 명령어cp [원본] [대상] - 파일 복사mv [원본] [대상] - 파일 이동→ 둘 다 원본이 앞, 대상이 뒤 구조를 가짐. 2. 백업 관련 명령어rsync [원본] [대상] - 원격 또는 로컬 파일 동기화dd if=[입력파일] of=[출력파일] - 입력/출력 지정 방식dump -0u -f [백업파일] [대상파일시스템]restore -rf [백업파일]cpio -o backup.cpiotar -cf [tar파일] [디렉토리]→ dd 명령어만 예외..

OS 기술/Linux 2025.07.13

도메인 연결이 끊겨서 SID만 보이는 사용자를 AD에서 찾아보기

Windows 보안 로그나 로컬 그룹 구성 화면에서 사용자 이름 대신 SID만 보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 이럴 때 Active Directory에서 해당 SID가 어떤 사용자 또는 그룹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봄. 📌 상황 예시아래처럼 로컬 그룹에 표시된 SID만 덩그러니 보이는 경우, 해당 SID가 누구인지 AD에서 직접 찾아야 함. 👤 1. 사용자 계정명으로 SID 확인하기계정명이 보이는 상황이라면 아래 명령어로 해당 사용자의 SID를 바로 확인 가능함.get-aduser -identity 계정명 🔍 2. AD 전체 사용자 중에서 SID로 사용자 찾기SID만 가지고 있다면 전체 사용자 중에서 해당 SID를 필터링하여 찾아야 함.get-aduser -filter * -properties SID..

OS 기술/Windows 2025.07.13

NGINX proxy_next_upstream으로 요청 재시도 구성하기

운영 중인 서비스에서 A 서버가 일시적으로 장애가 발생했을 때, 같은 업스트림 그룹의 B 서버로 요청을 자동으로 넘기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바로 proxy_next_upstream 지시어를 이용하면 됨.✅ proxy_next_upstream 이란?proxy_next_upstream 지시어는 동일 요청 안에서 첫 번째 서버가 연결 실패 또는 오류 응답(timeout, http_502, http_504 등)을 반환했을 때,NGINX가 같은 업스트림 그룹의 다른 서버로 자동 재전송을 하도록 만들어 줌.기본값: error, timeoutPOST, PATCH처럼 비멱등 요청은 non_idempotent 옵션을 명시해야 재시도 가능함🔗 NGINX 공식 문서 - proxy_next_upstream💡 예시 –..

DEV/Nginx 2025.07.04